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DP2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 소켓, TCP, UDP 소켓이란? 소켓: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서버 프로세스의 통신이다 소켓이 통신하는 원리를 알아보자 1. socket: 웹 서버가 소켓을 생성한다 2. bind: 특정 포트에 연결한다 3. listen: 이 용도로 사용하겠다 4. accept: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을 준비 됐다, 여기서 클라이언트의 ip와 port를 저장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커넥션이 들어올 때까지 멈춰있는다. 5. 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연결 6.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7. 통신 끝나면 close 시켜준다 ※ 클라이언트는 아무 port나 사용해도 돼서 bind가 필요없다 TCP와 UDP의 역할 멀티플렉싱: 여러 소켓으로부터 데이터를 모으는것, 헤더로 데이터를 감싼다 디멀티플렉싱: 받은 세그먼트를 배달하는 것 - 세그먼트를 메시지.. 2023. 1. 29.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 지식 인터넷 전송서비스 TCP - 신뢰성, 순서대로, 속도에 맞게, 혼잡 조절, 비용이 든다 - 데이터 유실되면 재전송 - ex) 중요한 서류 보낼 때 사용하는 등기우편 UDP - 비신뢰성, 연결성, 데이터가 유실돼도 괜찮을 때 - ex) 보이스톡, 일반우편 ※ 프로토콜: 서로간의 약속 packet-switching - 현재 인터넷 방식 - 라우터를 거치면서 한 묶음으로 다니는데 계속 클릭하지 않고 뉴스보고 다음뉴스 보고 이런 식 - 분산되서 사용, 제한 없다 - 단점: 동시에 접속하면 문제발생 circuit switching - 유선전화망, 미리 설치해놓음 processing delay: 패킷 검사하고 목적지 확인까지의 시간지연 transmission delay: 큐에서 나가는데 시간 propagation .. 2023. 1.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