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송서비스
TCP
- 신뢰성, 순서대로, 속도에 맞게, 혼잡 조절, 비용이 든다
- 데이터 유실되면 재전송
- ex) 중요한 서류 보낼 때 사용하는 등기우편
UDP
- 비신뢰성, 연결성, 데이터가 유실돼도 괜찮을 때
- ex) 보이스톡, 일반우편
※ 프로토콜: 서로간의 약속
packet-switching
- 현재 인터넷 방식
- 라우터를 거치면서 한 묶음으로 다니는데 계속 클릭하지 않고 뉴스보고 다음뉴스 보고 이런 식
- 분산되서 사용, 제한 없다
- 단점: 동시에 접속하면 문제발생
circuit switching
- 유선전화망, 미리 설치해놓음
processing delay: 패킷 검사하고 목적지 확인까지의 시간지연
transmission delay: 큐에서 나가는데 시간
propagation delay: 패킷이 링크에 올라와 다음라우터까지 도달하는 시간
queueing delay: 사람들이 몰려서 생기는 문제
※ 큐 크기 넘치면 버러야함, 사람 많이 몰리면 패킷 유실
App: ftp, http
Transport: tcp(데이터 통합 보장), udp
Network: ip
Link: wifi, lte, 이더넷
※ timing: 시간안에 도착해야 함, 음성전화 도착하는 시간 중요함
※ throughput: 양에 대한 이야기, 영화 다운로드할 때
서버 :웹 서버
- 컴퓨터는 한 ip주소를 갖고있어야한다
- 24시간 켜져있어야한다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
- ip를 갖지만 고정적이지 않다
ip: 한 컴퓨터
port: 컴퓨터 안의 특정 프로세스
※ ip와 port 외우기 어려워 dns시스템에 의해 변환됨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tcp 사용하기 때문에 tcp connection 필요함
- 상태를 기억 x
http 종류
non persistent http: 사이트에 열개의 그림이 있으면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접속해서 커넥션하고 끊음
request와 response를 하고 끊고를 반복
persistent http: tcp 연결을 유지하고 계속 사용, 현재 인터넷 방식
request로 글 가져와 파싱 남은것 request
※ 더 빠른 방법이 있는데 한꺼번에 모아서 연달아 request와 response를 반복하는 것이다.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실제 사용하는 방식이다
'CS(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I란 무엇인가? (0) | 2023.02.17 |
---|---|
[네트워크] TCP 세그먼트 구조와 통신원리 (0) | 2023.02.10 |
[네트워크] TCP Pipelining 방식 : Go-Back-N & selective repeat (0) | 2023.02.09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 원리 (0) | 2023.01.29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계층 - 소켓, TCP, UDP (2)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