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암호화2 [네트워크] HTTPS 통신방법: 대칭키와 비대칭키 HTTPS는 HTT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해 어떤 웹사이트에 보내는 정보를 다른 누군가 훔쳐보지 못한다는 점에서 안전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는 대칭키와 비대칭키 방식이 있다. 대칭키 방식은 메시지를 보내는 쪽과 메시지를 받는 쪽이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이를 다시 메시지로 바꾸는 즉 복호화하는 같은 방식으로 공유한다. 둘다 동일한 키를 가지고 암호화 복호화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대칭키는 중간에 누가 정보를 가르채도 못 알아보게 하는게 목적인데 한 번은 키를 전송해야한다. 이 때 중간에서 키를 가로 챌 수 있는것이다. 그러면 대칭키가 말짱 도루묵이 된다 그래서 사용하는게 비대칭키 방식이다 공개키라고도 하는 이 방식은 a,b의 키를 가지고 a키로 암호화하면 b키로만 복호화 할.. 2023. 5. 20. [인프라] IT 인프라 기본 지식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SaaS(Software as a Service):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ex) software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서비스 ex) os, 미들웨어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와 같은 물리적 서비스 ex) 네트워크, 하드웨어 서비스 인프라 구성 인프라를 구성할 때 안정성이 중요해 이중화를 한다. L4 스위치로 서버를 두 대 두고 한 대가 다운돼도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현재는 elb was1,2 둔다. 추가로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 보안이 중요하다 평소에 문제 없도록 감시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는 복구를 우선으로 한다. 로그 기록을 잘 보존해 원인을 찾고 재발방지한다. ※ 가용시간 = 전체시간 -.. 2023. 1. 2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