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SaaS(Software as a Service):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ex) software
PaaS(Platform as a Service): 플랫폼 서비스
ex) os, 미들웨어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와 같은 물리적 서비스
ex) 네트워크, 하드웨어 서비스
인프라 구성
인프라를 구성할 때 안정성이 중요해 이중화를 한다. L4 스위치로 서버를 두 대 두고 한 대가 다운돼도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현재는 elb was1,2 둔다. 추가로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 보안이 중요하다
평소에 문제 없도록 감시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는 복구를 우선으로 한다. 로그 기록을 잘 보존해 원인을 찾고 재발방지한다.
※ 가용시간 = 전체시간 - 장애시간
이중화 방식
hot standby: 추가로 한 대를 더 둔다. 총 3대. 한대는 기동중, 하나 다운되면 기동중인 하나로 넘어감
warm standby: 준비만 한 상태
cold standby: 정지 상태
※ 프로비저닝: 바로 사용될 수 있게 미리 구성, 동일하게 세팅
클라우드 기능
scale out: 클라우드 대수 늘린다
scale up: 클라우드 용량 늘린다
네트워크
인터넷 접속은 도메인통해서 한다 도메인에 붙어 ip를 받는다
NAT
공인 ip는 한정적이라 내부망에서는 내부 ip를 사용한다. 내부 ip가 외부와 통신하려면 공인 ip가 필요한데 이 때 공인ip로 바꿔주는 기능, 라우터 역할
- 포트를 달리해 내부 ip 겹치지 않게 한다
※ fail over : active인 디비가 다운됐을때 standby 디비로 넘겨오는거
암호화
- 문자를 키를 통해 암호화 시킨다
- 키를통해서 다시 복호화 할 수 있다
해시화
- 복호화를 할 수 없다
- 암호화해도 풀 수 없어야하는 주민번호같은 정보에 사용
- 해시값 사용하면 값은 동일해야함
'BackEnd > 인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인프라] 스토리지 & RAID (0) | 2023.01.27 |
---|---|
[IT 인프라] IT 인프라 네트워크 지식 (0) | 2023.01.27 |
[ IT 인프라] IT 인프라 유형과 서버 구성요소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