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Computer Science)55 [ORACLE] 오라클 내부 작업 및 인덱스 오라클의 내부 작업 명령어 ORACLE 내부 작업 ORDER BY SORT ORDER BY UNION UNION-ALL MINUS MINUS INTERSECT INTERSECTION DISTINCT, MINUS, INTERSECT, UNION SORT UNIQUE MIN, MAX, COUNT SORT AGGREGATE GROUP BY SORT GROUP BY JOIN 된 SQL COUNT ORACLE이 쿼리를 수행할 때 수반되는 내부 작업들이다. ORACLE의 내부 operation을 잘 이해해야만 원치 않는 과부하를 사전에 방지하고 원하는 결과를 더 빠른 시간에 얻을 수 있다. 인덱스 - Index : 테이블로부터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하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이고 또한 물리적인 실체를 가진 객체 - O.. 2023. 8. 31. [ORACLE] 오라클 SQL 튜닝 SQL 튜닝은 SQL의 수행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옵티마이저가 더욱더 효율적으로 실행 계획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1. SQL 변경 SQL의 작성 방법에 따라 optimizer가 다른 경로로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같은 결과를 내더라도 쿼리를 짜는 방법은 다양하기 때문에 원래의 SQL 문을 옵티마이저가 더 효과적인 실행 계획을 생성할 수 있는 SQL 문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2. HINT의 사용과 경로의 제어 - ORACLE의 힌트 기능은 ORACLE로 하여금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의 실행 계획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 - SQL의 변경이나 재작성 없이 실행 경로를 제어 할 수 있는 방법 - CBO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지정한 경로로 실행되.. 2023. 8. 31. [ORACLE] 오라클 이해하기 오라클에서 SQL은 4단계를 거쳐서 수행된다. 1. 파싱(Parser) 2. 옵티마이저(Query Optimizer) 3. 로우소스 생성(Row Source Generator) 4. SQL 실행(SQL Execution Engine) 1) 파싱(Parser) 파싱 단계는 SQL의 구문(syntax)과 의미(semantics) 검사를 수행한다. Syntax 체크는 SQL 문장의 문법을 검증하는 단계이고, Semantic 체크는 SQL 문장내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권한이 존재하는지 등을 검증한다. 이 단계가 끝나면, SQL 문은 파싱 트리(parsed tree) 형태로 변형되어 optimizer에게 넘겨진다. 2) 옵티마이저(Query Optimizer) 옵티마이저에서는 앞에서 넘겨받은 파싱 트리를 이용.. 2023. 8. 31. [ORACLE] ORANGE 글자 크기 및 언어 변경 ORACLE DB에서 많이 사용하는 ORANGE TOOL에서 글자 크기와 언어 세팅을 변경해보겠습니다. 처음에 글자가 작고 메뉴와 설명들이 영어로 나올때 글자 크기를 키우고 언어를 한글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1. ORANGE 옵션을 들어간다 2. 원하는 글꼴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3. 원하는 언어로 세팅한다 2023. 7. 31. 데이터베이스 면접 준비 Database는 무엇인가? - 중복된 데이터를 없애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DB 언어 종류 1. DDL (정의어 :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 수정, 삭제하는 언어 - ex) alter, create, drop 2. DML (조작어 :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베이스내의 자료 검색, 삽입, 갱신, 삭제를 위한 언어 ex) select, insert, update, delete 3. DCL (제어어 :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에 대해 무결성 유지, 병행 수행 제어, 보호와 관리를 위한 언어 - ex) commit, rollback, grant, revoke View는 무엇.. 2023. 5. 30. [데이터베이스] 역정규화란 무엇인가? 학습 목표: 역정규화는 무엇인가? 성능이나 개발의 편의성을 위해 구조를 바꾸는 것. 정규화를 하고 역정규화를 한다 먼저 두개의 테이블이 있다 topic_title별로 tag_name을 알기위해서는 테이블 join을 해야한다. topic_title tag_id mysql 1 mysql 2 oracle 3 oracle 4 tag_id tag_name 1 rdb 2 free 3 commercial 위 두 테이블을 아래 테이블로 바꾼다면 join을 하지 않기때문에 더 빠르게 데이터를 불러올수있다. 이런 작업을 역정규화라고 한다. topic_title tag_id tag_name mysql 1 rdb mysql 2 free oracle 3 commercial oracle 1 rdb 역정규화를 하게 되면 정규화를 .. 2023. 5. 25. [네트워크] HTTPS 통신방법: 대칭키와 비대칭키 HTTPS는 HTT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해 어떤 웹사이트에 보내는 정보를 다른 누군가 훔쳐보지 못한다는 점에서 안전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는 대칭키와 비대칭키 방식이 있다. 대칭키 방식은 메시지를 보내는 쪽과 메시지를 받는 쪽이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이를 다시 메시지로 바꾸는 즉 복호화하는 같은 방식으로 공유한다. 둘다 동일한 키를 가지고 암호화 복호화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대칭키는 중간에 누가 정보를 가르채도 못 알아보게 하는게 목적인데 한 번은 키를 전송해야한다. 이 때 중간에서 키를 가로 챌 수 있는것이다. 그러면 대칭키가 말짱 도루묵이 된다 그래서 사용하는게 비대칭키 방식이다 공개키라고도 하는 이 방식은 a,b의 키를 가지고 a키로 암호화하면 b키로만 복호화 할.. 2023. 5. 20. Rest API란 무엇인가? Rest API - 정보들이 주고받아지는데 있어서 개발자들 사이에 널리 쓰이는 일종의 형식 - 컴퓨터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 - 특정기술이 아니라 http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모범 사례 - HTTP 요청을 할 때 어떤 URI에 어떤 method를 사용할지에 대한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어지는 약속 - 각 요청이 어떤 정보나 동작을 위한것인지 쉽게 추론 가능 즉 통신할때 리소소는 uri, 행위는 메소드, 결과는 응답코드로 http가 가지고있는 의미를 잘 활용하는것 rest :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해서 자원에 대한 상태, 정보를 주고받는 것, HTTP Method를 활용해서 해당 자원에 대한 CRUD를 적용하는 것 API - 컴퓨터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 -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과 응답.. 2023. 5. 20. HTTP 통신 request, response 요청 메시지 `GET /1.html HTTP/1.1` - `GET` : 메소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어떤 방식으로 통신할 것인가 - `GET`은 데이터를 웹 서버로 가져올 때 씀. 주소 치고 엔터 치는 것 - `POST` 는 로그인 전송 버튼 누르면 데이터 전송 - `/1.html` : 웹 서버에게 요청하는 정보 - 웹 서버는 `/1.html`을 보고서 그것에 따라 웹 브라우저가 요청한 정보를 응답해주게 됨 - `HTTP/1.1` : 웹 브라우저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사용할 수 있는 HTTP의 버전이 1.1 `Host: localhost:8080`이라는 이 부분부터는 Request Header - `Host: localhost:8080`: 여러 가지 Request Headers가 있지만 그 중에서 .. 2023. 5. 20. 이전 1 2 3 4 5 ··· 7 다음 728x90